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6

2017년 기계제작법 30제 01. 버니싱 가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주철만을 가공할 수 있다. ② 작은 지름의 구멍을 매끈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③ 드릴, 리머 등 전단계의 기계가공에서 생긴 스크래치 등을 제거하는 작업이다. ④ 공작물의 지름보다 약간 더 큰 지름의 볼(ball)을 압입통과시켜 구멍 내면을 가공한다. 더보기 ① 원통의 내면을 다듬질하기 위하여 원통의 안지름보다 약간 지름이 큰 볼(ball)을 압입함으로써 소성변형을 시켜 매끈한 면으로 다듬질하는 방법이다. 드릴, 리머 등 전 단계 기계가공에서 생긴 스크래치(scratch) 등을 없애고 다듬질면을 매끄럽게 하는데 시간이 적게 걸린다. - 원통의 내면을 다듬질하기 위한 일종의 소성가공 방법이다. - 원통 안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의 강구를 압입한다. → 작은.. 2022. 7. 30.
2016년 기계제작법 30제 01. 압출가공(extrusion)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직접압출보다 간접압출에서 마찰력이 적다. ② 직접압출보다 간접압출에서 소요동력이 적게 든다. ③ 압출방식으로는 직접(전방) 압출과 간접(후방) 압출 등이 있다. ④ 직접압출이 간접압출보다 압출 종료 시 컨테이너에 남는 소재량이 적다. 더보기 ④ 전방압출이라고도 하며 치약을 짜내는 것과 같은 원리로서, 재료손실이 많은 이유는 빌렛은 용기의 벽면에 대하여 상대운동을 하므로 벽면과의 마찰로 인해 램 하중이 매우 크다. 결국 압출이 가장 나중에 되는 부분은 금속유동에 기인하여 압출봉의 중심 또는 내부에 압출 파이핑 결함이 형성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해 빌렛의 뒷부분은 남기고 압출하기 때문에 생산수율이 낮다. - 램(ram)의 진행방향과 .. 2022. 7. 30.
2008년 국가직 9급 기계일반 문제 및 해설 문 01. 성크키(묻힘키, sunk key)에 의한 축이음에서 축의 외주에 작용하는 접선력이 1N일 때 키(key)에 작용하는 전단응력[$N/ mm^{2} $]은? (단, 키의 치수는 10mm × 8mm × 100mm이다.) ① 1,000 ② 1,250 ③ 2,000 ④ 2,500 더보기 ① $ \tau = \frac{F}{bl} $ $b \times h \times l$ 문 02. 선반을 이용하여 지름이 50mm인 공작물을 절삭속도 196m/min로 절삭할 때 필요한 주축의 회전수[rpm]는? (단, $\pi $는 3.14로 계산하고, 결과 값은 일의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① 1,000 ② 1,250 ③ 3,120 ④ 3,920 더보기 ② 문 03. 다음 중 원심식 펌프에 해당하는 것만으로 묶은 것은.. 2022. 7. 23.
2007년 국가직 9급 기계일반 문제 및 해설 문 01. 강의 탄소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특성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인장강도가 증가한다. ② 항복점이 증가한다. ③ 경도가 증가한다. ④ 충격치가 증가한다. 더보기④강도, 경도, 취성, 비열, 전기저항, 항자력, 항복점, 열처리성 → 강도가 경찰에게 취해서 비열하게 저항하다 자력으로 항복하고 처리했다. 이거 외에 나머지는 감소 진짜 거의 다 감소한다. 다만 인장강도, 항복점은 0.8% C(공석점)까진 증가하긴 하는데 그 이후는 감소한다. 열처리성에서 탄소량이 6%가 넘어가버리면 담금질이 곤란하다. 예를들어 보통주철의 경우, 탄소가 흑연 상태로 존재하고, 빈 공간이 많은 탄소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떨어져 잘 깨진다. 빈 공간이 완충제 역할을 하는데, 이 상태에서 열처리를 하면.. 2022. 7. 23.
2022년 상반기 성남도시개발공사 기계직 기출복원(4월 23일 응시) 01. 금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광택이 있고 빛을 잘 반사하며 가공성과 성형성이 우수하다. ② 두 종류 이상의 금속이 혼합할 때에는 용융점이 높아진다. ③ 모든 금속은 상온에서 고체이며 고상에서 결정구조를 갖는다. ④ 모든 금속은 응고 시 수축하며 이온화하면 양(+)이온이 된다. 더보기 ① - 수은을 제외하고 상온에서 고체이며 고체 상태에서 결정구조를 갖는다. - 광택이 있고 빛을 잘 반사하며 가공성과 성형성이 우수하다. - 연성과 전성이 우수하며 가공하기 쉬우며 자유전자가 있다. → 때문에 열전도율과 전기전도율이 좋다. - 열과 전기의 양도체이며 비중과 경도가 크며 용융점이 높은 편이다. - 열처리를 하여 기계적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 - 이온화하면 양(+)이온이 된다. - 대부분의 금.. 2022. 7. 21.
2021년 하반기 성남도시개발공사 기계직 기출복원(9월 4일 응시) 01. 다음 중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것은? ① 폴리에스테르 ② 폴리에틸렌 ③ 폴리프로필렌 ④ 폴리스티렌 더보기①에폭시, 페놀, 요소, 실리콘(규소), 멜라민, 푸란, 아미노, 알키드, 폴리에스테르 - 아파요그만ㅜ에페요규멜ㅜ 폴리염화비닐, 불소, 스티롤, 폴리에틸렌, 아크릴, 초산비닐, 메틸아크릴, 폴리아미드, 염화비닐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ABS, 불화탄소,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열경화성, 열가소성 수지 종류가 2가지이므로 2개 다 해당.. 거품만 경화성02. 다음 중 청동의 주요 성분으로 맞는 것은? ① Cu-Zn ② Cu-Pb ③ Cu-Ni ④ Cu-Sn 더보기④ 청동은 Cu + Sn 합금으로서 주석(Sn)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강도, 경도는 증가하나 연신율은 감소한다. 상원사 동종(청.. 2022. 7. 21.
2015년 기계제작법 30제 01. 주조의 탕구계 시스템에서 라이저(riser)의 역할로서 틀린 것은? ① 수축으로 인한 쇳물 부족을 보충한다. ② 주형 내의 가스, 기포 등을 밖으로 배출한다. ③ 주형 내의 쇳물에 압력을 가해 조직을 치밀화한다. ④ 주물의 냉각도에 따른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보기 ④ 압탕구(feeder), 압탕, 혹은 덧쇳물로도 부르며 주조에서 주입된 쇳물이 주형 속에서 냉각될 때 응고 수축에 따른 부피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용탕을 더 공급하는 부분으로 이곳의 용탕이 냉각되지 않도록 절연을 하거나 발열제를 장착하여 여유 있는 액체 상태를 유지시킨다. 압탕을 보중하기도 하지만, 이 압탕의 중량으로 쇳물의 압력을 가하고 용융금속 내 정압을 부여하며 주물 조직을 치밀화하고 파괴나 기공의 발생을.. 2022. 7. 21.
2014년 기계제작법 30제 01. CNC 선반에서 프로그램으로 사용할 수 없는 기능은? ① 이송속도의 선정 ② 절삭속도와 주축회전수의 선정 ③ 공구의 교환 ④ 가공물의 장착, 제거 더보기 ④ - S: 주축기능(절삭속도 관련지정) - T: 공구기능(자동공구교환과 공구보정지정) - G: 준비기능(G - code 지정) - F: 이송기능(가공물과 공구와의 상대속도지정) 02. 딥 드로잉(deep drawing) 가공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큰 단면감소율을 얻을 수 있다. ② 복잡한 형상에서도 금속의 유동이 잘 된다. ③ 중간에 어닐링(annealing)이 필요없다. ④ 압판압력을 정확히 조정할 필요가 없다. 더보기 ④ - 이음매가 없고 밑바닥이 있는 용기를 만드는 작업이다. - 큰 단면감소율을 얻을 수 있다. - 복잡한 형상에서도 금.. 2022. 7. 20.
2013년 기계제작법 30제 01. 절삭과정에 공구에 열전대를 삽입하기 위한 가공방법으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화학연마 ② 전해연마 ③ 방전가공 ④ 버핑가공 더보기 ③ 열전대를 삽입하기 위해 좁은 구멍을 뚫는 가공으로는 방전가공이 적합하다. 02. 테일러의 절삭공구 수명식(VTⁿ=C)에서 T와 V의 좌표 관계를 모눈종이에 표시하면 기울기는 어떻게 그려지는가? (단, 여기서 T는 공구수명, V는 절삭속도, C는 상수이다.) ① 직선 ② 포물선 ③ 지수곡선 ④ 쌍곡선 더보기 ① 03. 수퍼피니싱(super finishing)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다듬질면은 평활하고 방향성이 없다. ② 원통형의 가공물 외면·내면의 정밀 다듬질이 가능하다. ③ 가공에 의한 표면 변질층이 극히 미세하다. ④ 입도가 비교적 크며 경한 숫돌에 큰.. 2022. 7. 19.
2012년 기계제작법 30제 01. 주조시 탕구의 높이와 유속과의 관계가 옳은 식은? (단, v = 유속(cm/s), h = 탕구의 높이(쇳물이 채워진 높이, cm), g = 중력 가속도(cm/s²), C = 유량계수이다.) ① $v= \frac{2gh}{C} $ ② $v=C \sqrt{2gh} $ ③ $v=C(2gh)^2$ ④ $v=h \sqrt{2Cg} $ 더보기 ② 02. 지름 5mm의 가는 봉재를 선재인발(wire drawing)하여 4mm가 되었다면 단면 감소율은? ① 12 ② 24 ③ 36 ④ 64 더보기 ③ $\frac{d_0^2-d^2}{d_0^2} $ d₀: 처음 지름, d: 나중 지름 03. 용접의 분류에서 아크 용접이 아닌 것은? ① MIG 용접 ② TIG 용접 ③ 테르밋 용접 ④ 스터드 용접 더보기 ③ - MI.. 2022. 7. 17.
2011년 기계제작법 30제 01. 사인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45°를 초과하여 측정할 때 오차가 급격히 커진다. ② 사인바는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각도 측정을 한다. ③ 하이트게이지와 함께 사용해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④ 호칭치수는 양 롤러간의 중심거리로 나타낸다. 더보기 ③ - 45°를 초과하여 측정할 때 오차가 급격히 커진다. - 사인바는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각도 측정을 한다. - 블록게이지와 함께 사용해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 호칭치수는 양 롤러 간의 중심거리로 나타낸다. 02. 심랭처리(Sub-Zero Treatment)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강철을 담금질하기 전에 표면에 붙은 불순물을 화학적으로 제거시키는 것 ② 처음에 기름으로 냉각한 다음 계속하여 물속에 담그고 냉각하는 것 ③ 담금질 후.. 2022. 7. 1.
2010년 기계제작법 30제 01. 다음 중 구멍의 내면을 가장 정밀하게 가공하는 방법은? ① 드릴링(drilling) ② 소잉(sawing) ③ 펀칭(punching) ④ 호닝(honing) 더보기 ④ - 호닝 > 리밍 > 보링 > 드릴링 - 호리보드 02. 최소 측정값이 1/20mm인 버니어 캘리퍼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본척의 최소 눈금이 1mm, 부척의 1눈금은 12mm를 25등분한 것 ② 본척의 최소 눈금이 1mm, 부척의 1눈금은 19mm를 20등분한 것 ③ 본척의 최소 눈금이 0.5mm, 부척의 1눈금은 19mm를 25등분한 것 ④ 본척의 최소 눈금이 0.5mm, 부척의 1눈금은 24mm를 20등분한 것 더보기 ② 03. 강의 표면 경화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화염경화법 ② 탈탄법 ③ 질화법 ④ 청화법(.. 2022. 7. 1.
2009년 지방직 9급 기계일반 문제 및 해설 문 01. 다음 중 상온에서 소성변형을 일으킨 후에 열을 가하면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는 성질을 가진 재료는? ① 비정질합금② 내열금속 ③ 초소성재료④ 형상기억합금 더보기④ 결정구조를 가지지 않고 아몰포스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자기적 성질이 좋은 재료. 전기 저항이 크고 균질한 재료이며, 결정이방성이 없다.  - 일반적인 금속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내식성이 좋다. - 우수한 연자기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전기전도성은 우수하지 않다. - 주조 시 응고수축이 적고, 주물제작 했을 때 표면이 매끈하다. → 후가공이 필요 없다. - 열을 가하면 다시 보통의 결정구조를 가진 금속으로 되돌아간다. - 장시간 내버려두면 본연의 결정구조를 찾아 재결정화가 일어난다. 금속재료가 유리질처럼 늘어나는 특수한 현상을 .. 2022. 6. 20.
10년 기계재료 30제 01. 단조 작업한 강철재료를 풀림하는 목적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내부 응력 제거 ② 경화된 재료의 연화 ③ 결정조직을 균일하게 조절 ④ 석출된 성분의 고정 더보기 ④ 담금질: 재질의 경화(경도 증가), 급랭(기름, 물) 풀림: 재질의 연화(연성 증가), 균질(일)화, 노랭, 서랭 뜨임: 담금질한 후, 강인성 부여(강한 인성), 인성개선 불림: 조직 미세화, 균질(일)화, 표준화, 공랭 - 강을 연하게 하여 기계 가공성 향상(완전풀림) - 내부 응력 제거(응력 제거 풀림) - 기계적 성질 개선(구상화 풀림) 02. 구리합금 중에서 가장 높은 경도와 강도를 가지며, 피로한도가 우수하며 고급스프링 등에 쓰이는 것은? ① Cu-Be 합금 ② Cu-Cd 합금 ③ Cu-Si 합금 ④ Cu-Ag 합금 더보.. 2022.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