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계공작법/국가직 7급4

2022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문제 및 해설 문 0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해로는?○ 주로 주철을 용해하는 데 사용된다. ○ 투입구에서 금속, 코크스, 용제 등을 투입한다. ○ 내부는 내화 벽돌로 라이닝되어 있고, 외벽은 강재로 구성되어 있다.① 용선로 ② 반사로 ③ 전기로 ④ 도가니로 더보기①큐폴라라고도 하며 주철을 용해할 때 사용하며, 크기는 1시간에 용해할 수 있는 쇳물의 무게를 ton(톤)으로 표시한다. 금속을 용해하여 정련하는 노이다. 아궁이와 용해실이 분리되어 있고 화염은 노의 정상부를 따라 흐르며, 노의 천정과 옆벽으로부터의 반사열로 원료를 용해하는 노로서 연료는 석유 또는 중유를 사용한다. 전열을 이용하여 고철, 선철 등의 원료를 용해하여 강 또는 합금강(특수강)을 만드는 제강법으로 우수한 품질의 강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22. 10. 15.
2009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문제 및 해설 문 01. 다음 중 치핑(chipp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절삭 날의 강도가 절삭저항에 견디지 못하고 날 끝이 탈락하는 현상이다. ② 절삭할 때 칩이 연속적으로 잘 흘러나가는 현상이다. ③ 절삭공구의 경사면이 마모되는 현상이다. ④ 절삭가공을 할 때 절삭 날이 마모되는 현상이다. 더보기① 공구 결손이라고도 하며 공구날 끝의 일부가 충격에 의하여 떨어져 나가는 것으로서 절삭공구 끝이 절삭저항에 견디지 못해 떨어지는 현상으로 주로 인성이 낮은 경우 잘 발생된다. 순간적으로 발생한다. 밀링이나 평삭 등과 같이 절삭날이 충격을 받거나 초경합금공구와 같이 충격에 약한 공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 휨(deflection)을 최소로 한다.  - 경사각과 여유각을 적당하게 유지한다. .. 2022. 10. 6.
2008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문제 및 해설 문 01. 금속재료의 가공시 절삭성을 이용한 가공법이 아닌 것은? ① 압연가공② 드릴가공 ③ 선반가공④ 밀링가공 더보기①틀리면 지옥감문 02. 재료의 기계적인 성질 중 인장시험에서 구할 수 없는 것은? ① 항복강도② 연신율 ③ 탄성계수④ 잔류응력 더보기④ 시편(재료)에 작용시키는 하중을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여러 가지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 시험편 평행부의 원 단면적  - 표점 거리, 단면 수축률, 항복 연신율, 파단 연신율, 푸아송 비  - 인장강도, 항복강도, 상항복점, 하항복점  - 탄성계수, 탄성한도, 비례한도, 내력문 03. 비파괴 검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액체침투 탐상법은 표면결함, 겹친 부위 및 기공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② 와전류 탐상법은 전도성 재료를 검.. 2022. 10. 5.
2007년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문제 및 해설 문 01. 기어의 치수정밀도 및 표면정도를 높이기 위한 마무리 작업이 아닌 것은? ① 셰이빙(shaving) ② 래핑(lapping) ③ 호닝(honing) ④ 리밍(reaming) 더보기④ 나무를 대패질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평면이나 곡면 형상의 공작물표면을 얇게 절삭할 수 있다. 셰이빙은 전단작업된 제품의 표면정도나 치수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공정이다. 특별한 모양의 절삭공구를 사용하여 길이가 긴 제품이나 여러 형상이 복합된 제품을 셰이빙하는 작업을 스카이빙이라고 한다. 주철이나 구리, 가죽, 천 등으로 만들어진 랩과 공작물의 다듬질할 면 사이에 랩제를 넣고 적당한 압력으로 누르면서 상대 운동을 하면, 절삭입자가 공작물의 표면으로부터 극히 소량의 칩을 깎아내어 표면을 다듬는 가공법이다.. 2022. 9. 30.